spellcheck 가짜 문자 확인기
내용
가짜 텍스트 표시 방법
결과
기능 안내
💡 가짜 문자 확인기는 피싱이나 스팸 메시지에서 사용되는 유사 문자 공격을 식별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.
🛠 가짜 문자 확인기 사용 방법
- 1. '내용' 입력란에 확인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입력합니다.
- 2. 가짜 텍스트 표시 방법을 선택합니다.
- - 가짜 텍스트만 보이기: 입력한 텍스트 중에서 가짜 문자(특수 공백, 유사 문자 등)만 골라서 표시합니다.
- - 가짜 텍스트 정보 모두 표시: 전체 텍스트를 유지하면서 가짜 문자가 있는 위치와 그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정보, 설명 등을 함께 표시합니다.
- 4. ‘결과보기’ 버튼을 클릭하여 입력한 텍스트에서 가짜 문자가 있는지 확인합니다.
- 5. 결과는 ‘복사하기’ 버튼을 통해 복사할 수 있으며, ‘초기화’ 버튼으로 입력한 내용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.
📌 가짜 문자 확인기 활용 팁
- - 피싱 사이트 식별
유사한 문자를 사용하여 만든 가짜 웹사이트 URL을 식별할 때 유용합니다. - - 스팸 메시지 확인
유사 문자로 작성된 스팸 메시지를 판별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. - - 보안 점검
문서나 이메일에서 의심스러운 문자를 찾아 보안 점검을 수행할 때 도움이 됩니다.
공백 특수문자의 경우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.
표기 | 의미 | 유니코드 값 (Hex) | 설명 |
---|---|---|---|
[ZWSP] | Zero Width Space | U+200B | 폭이 없는 공백 (보이지 않음) |
[HSP] | Hair Space | U+200A | 가장 얇은 공백 (거의 안 보임) |
[THSP] | Thin Space | U+2009 | 일반 공백보다 얇은 공백 |
[PUNC] | Punctuation Space | U+2008 | 문장부호 정렬용 공백 |
[FPEM] | Four-Per-Em Space | U+2005 | 글자 크기의 1/4 띄움 |
[ENSP] | En Space | U+2002 | 글자 크기의 1/2 띄움 |
[TPEM] | Three-Per-Em Space | U+2004 | 글자 크기의 1/3 띄움 |
[FIGSP] | Figure Space | U+2007 | 숫자 정렬을 위한 공백 |
[BRAILLE] | Braille Pattern Blank | U+2800 | 점자에서 사용되는 공백 (보이지 않음) |
[EMSP] | Em Space | U+2003 | 글자 크기만큼 띄움 |
[UNDL] | Full-width Underscore | U+FF3F | 가짜 밑줄 (전각 언더바, 일반 밑줄과 다름) |
[SHY] | Soft Hyphen | U+00AD | 보이지 않는 하이픈 (줄바꿈 시에만 표시됨) |
[FSTOP] | Full-width Stop | U+FF0E | 전각 마침표 (일반 마침표와 다름) |
❓ 자주 묻는 질문
- Q. 어떤 문자들이 가짜 문자로 탐지되나요?
- A. 가짜 문자 확인기는 라틴 문자, 키릴 문자, 그리스 문자, 한자, 유사 기호 등 유니코드 영역에서 시각적으로 유사하지만 실제로 다른 문자를 기준으로 탐지합니다.
- Q. 모바일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?
- A. 네, 가짜 문자 확인기는 반응형 웹으로 제작되어 있어 모바일, 태블릿, 데스크톱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🛠️ 함께 사용하면 좋은 도구
가짜 문자 확인기 외에도 다양한 텍스트 도구를 활용해보세요.
⚠️ 가짜 문자 확인기 이용 중 불편사항이나 제안이 있으신가요?
사용 중 가짜 문자 확인기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거나, 개선 아이디어가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페이지를 통해 제보해 주세요.
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리고 있습니다.